Programming/언리얼엔진

언리얼엔진 트랜스폼

DDang goon 2020. 7. 16. 10:50

 

언리얼 좌표계

위치(Location) : X,Y,Z축의 위치(그림에서 향하는 방향이 +)

회전(Rotation) : X,Y,Z축의 기준으로 회전(시계 방향이 +,반시계 방향이 -)

스케일(Scale) : X,Y,Z축의 기준으로 규모(기준은 Pivot)

 

모빌리티

스태틱 메쉬 액터

스태틱(Static) : 게임플레이 도중 절대 이동, 변할 수 없는 액터에 사용

구조물이나 장식물같은 배경 오브젝트에 적합하고 머티리얼은 애니메이션이 가능함

 

스테이셔너리(Stationary) : 게임플레이 도중 이동하지는 못하지만 변할 수는 있는 액터에 사용

 

무버블(Movable) : 게임플레이 도중 추가, 제거, 이동해야하는 액터에 사용

변형이 없는 메시 요소를 씬에 추가, 제거, 이동해야 할 때 사용(캐릭터,몬스터,총알 등)

 

라이트 액터

스태틱(Static) : 라이트 매스를 이용하여 미리 계산된 라이트 맵에 반영 된다. 스태틱, 스테이셔너리 액터에 빛을 비추고 무버블 액터에 대해서는 간접광 메소드로 빛을 비출 수 있음

 

스테이셔너리(Stationary) : 색이 변한다든가 강도가 세지고 약해지거나 심지어 꺼진다 처럼 변할 수 있음

라이트매스를 사용하는 미리계산하는 라이트맵에 기여하지만, 움직이는 오브젝트에 동적 그림자를 줄 수도 있음

 

무버블(Movable) :동적 그림자만 사용함 게임플레이 도중 라이트 이동 뿐 아니라 색과 강도도 변경할수 있음

그림자만 사용하지 않는다면 무버블 라이트는 언리얼 엔진의 디퍼드 렌더링 시스템 덕에 계산비용이 매우 저렴한 편